>노인 버스 무료 시행여부 및 전국 지역별 총정리(버스무료지역)

노인 버스 무료 시행여부 및 전국 지역별 총정리(버스무료지역)

노인 버스 무료 시행여부 및 전국 지역별 총정리(버스무료지역)

업데이트 기준: 2025-08-24 (변동 가능) · 공식 고시·보도자료·시정 페이지를 근거로 정리했습니다. 지하철 무임(만 65세 이상)은 널리 시행되지만, 시내버스 무임은 지자체별로 조건이 다릅니다.

서론: “노인 버스 무료”는 어디까지 사실일까?

노년층 교통복지는 크게 지하철 무임버스 무임(또는 요금 전액 지원)으로 나뉩니다. 지하철 무임은 만 65세 이상을 중심으로 전국 주요 도시에서 시행되고 있으나, 버스 무임은 전국 공통이 아닌 ‘지자체 정책’입니다. 2025년 들어 대전, 경주·포항·영덕(경북권), 울산, 원주, 화성 등 여러 지역에서 실제 시행·확대가 확인되었고, 각 지역의 연령·대상·횟수·노선 범위·신청 절차가 상이합니다.

상세 조건과 일정이 자주 바뀝니다. 최신 공식 안내에서 바로 확인하세요.
복지로(정부 복지포털)에서 지역 교통지원 검색

한눈에 보는 요약표 (2025년 8월 기준)

권역/지자체 시행 형태 대상 연령 적용 범위 특이 조건 시행/변경일
대전광역시 시내버스 무임 (전용 카드) 만 70세 이상 시내·마을버스, BRT, 도시철도 이용횟수 제한 없음, 실물카드 사용 2023-09-15 시행
경북권(경주·포항·영덕) 시내버스 무임 (전용 카드) 만 70세 이상(영덕은 65+ 농어촌버스 포함 공고) 지역 시내/농어촌 버스 지역별 발급 절차 상이 2025-07-01부터 순차 시행
울산광역시 시내버스 무임 (전용 카드) 만 75세 이상 울산 시내버스 전 노선 거주·연령 요건, 전용 카드 필요 2025-07-01 시행
강원 원주시 월 15회 무료(전용 카드) 만 70세 이상 원주시 시내·농어촌 버스(누리버스 포함) 월별 한도(15회) 2025-10-02 시행
경기 화성시 요금 전액 지원(환급형) 만 65세 이상 관내 시내·마을버스 전용 플랫폼 등록·정산 지속 시행(2021~)
서울특별시 버스 유료 / 지하철 무임 지하철: 만 65세 이상 지하철 무임(버스는 유료) 우대용 교통카드 사용 지속 시행
광주광역시 어르신 50% 환급형(G-패스) 시의 기준에 따름 광주 시내버스·마을버스·도시철 반값(환급) 중심 정책 2025-01-01 시행

※ 위 표는 주요 사례 요약입니다. 추가·변경되는 지역은 하단 “지역별 세부 정리”에서 확인하세요.

대전은 실제로 전 노선 무임을 운영 중입니다. 신청 절차와 대상 확인은 아래 공식 안내에서 확인해 보세요.
대전시 ‘어르신 무임교통카드’ 공식 안내로 이동

전국 지역별 세부 정리

지역 정책 형태 세부 조건 신청/발급 근거
대전광역시 무임(버스·BRT·지하철) 만 70세 이상, 횟수 제한 없음 전용 무임교통카드(실물) 발급, 신분증·계좌 필요 시정 소식·QA 공지(2023-09-15)
경북 경주시 무임(시내버스) 만 70세 이상 경주시 ‘어르신 시내버스 무임카드’ 사전 발급 경주시 공지(2025-05-27)
경북 포항시 무임(시내버스) 만 70세 이상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발급(5부제 시행) 포항시 Q&A(2025-07-01)
경북 영덕군 무임(농어촌버스) 65세 이상(군 공지 기준) 읍·면사무소 발급(무임교통카드) 영덕군 보도(2025-07-01)
울산광역시 무임(시내버스) 만 75세 이상 전용카드 발급(지정 창구) 울산시 보도자료(2025-07-01)
강원 원주시 월 15회 무료 만 70세 이상, 월별 15회 한도 ‘노인버스 무료이용 지원카드’ 발급 원주시 공고(2025-10-02)
경기 화성시 무상교통(전액 지원/환급형) 만 65세 이상, 관내 시내·마을버스 무상교통 플랫폼 회원가입·카드 등록 무상교통 안내·시정자료
서울특별시 지하철 무임 / 버스 유료 지하철: 만 65세 이상 무임(우대용 카드) 동주민센터·은행 발급(우대용 교통카드) 서울시 안내
광주광역시 어르신 50% 환급형 정책상 어르신 대중교통비 지원 G-패스 등록·환급 광주시 교통(2025-01-01)

※ 위 표의 연령·범위는 지자체 공지에 따르며, 일부 군·구 단위 세부 운영이 추가될 수 있습니다.

무임·지원 카드 신청·발급 가이드 (따라하기)

지역 준비물 신청 경로 처리 방식 주의사항
대전 신분증, 본인 명의 통장 하나은행 창구 또는 모바일(시 안내 QR) 실물카드 우편 수령, 횟수제한 無 카드 분실 재발급 수수료(예: 3,000원)
경주·포항 신분증 읍·면·동 행정복지센터(포항 5부제) 무임카드 현장 발급/등록 대리발급 불가(포항 Q&A)
영덕 신분증 읍·면사무소 무임교통카드 발급 현금 탑승 시 무임 적용 불가
울산 신분증, 신청서 지정 창구(시 안내) 전 노선 무임(75+) 거주·연령 요건 확인
원주 신분증 시 지정 창구 월 15회 무료(초과 시 유료) 월별 횟수 리셋일 확인
화성 신분증, G-Pass 번호/계좌 무상교통 플랫폼 회원가입 요금 전액 지원(정산·환급) 관내 통행 요건·정산 주기 확인
서울 신분증 동주민센터/은행(우대용 카드) 지하철 무임, 버스 유료 환승 시 같은 카드 사용 권장
필수 확인
  • 대부분 전용 무임·지원 카드가 있어야 실제 무료/환급이 적용됩니다.
  • 일부 지역은 관내 통행만 지원하며 광역·좌석·공항버스는 제외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환승체계가 있는 권역은 한 장의 카드로 전 구간을 찍어야 추가 기본요금이 붙지 않습니다.

비교·사례 정리

지하철 무임 vs 버스 무임

  • 지하철 무임(65+): 전국 주요 도시에서 널리 시행. 우대용 교통카드 발급 필요.
  • 버스 무임: 지자체별로 상이(대전·경주·포항·영덕·울산·원주·화성 등). 연령/횟수/범위 차이 큼.
  • 혼합 이용 시: 무료 환승 유지 위해 동일 카드 사용을 권장.

사례 스냅샷

  • 대전: 시내버스·BRT·지하철 모두 무임(70+), 실물카드 기반.
  • 경주·포항: 70+ 무임카드 사전 발급·시행(25.07.01~).
  • 영덕: 65+ 농어촌버스 무임 추진·시행 공지.
  • 울산: 75+ 시내버스 무임(25.07.01~) 공지.
  • 원주: 70+ 월 15회 무료(25.10.02~).
  • 화성: 65+ 관내 시내·마을버스 전액 지원(환급형).
  • 서울: 지하철 무임, 버스는 유료 유지.

자주 묻는 질문(지식스니펫형)

Q1. 버스 무임은 전국 공통인가요?

A. 아니요. 지자체별 정책입니다. 본문 요약·상세 표를 참고하세요.

Q2. 서울은 왜 버스가 유료인가요?

A. 서울은 지하철 무임을 유지하면서, 버스는 일반 요금을 적용합니다. 우대용 교통카드로 지하철 무임 이용이 가능합니다.

Q3. 환급형(지원형)과 무임형 차이는요?

A. 무임형은 탑승 시 결제가 0원으로 처리되고, 환급형은 결제 후 정산·환급됩니다. 실제 본인 부담은 0원으로 같아도 정산 시점·관내 통행 요건 등 차이가 있습니다.

Q4. 광역·좌석·시외버스도 되나요?

A. 대부분 제외됩니다. 각 지자체 공고의 적용 노선을 꼭 확인하세요.

실수 방지 체크리스트 & 절약 팁

  • 한 장의 카드로 끝까지: 환승 구간을 다른 카드로 찍으면 무료 환승이 끊겨 기본요금이 붙을 수 있습니다.
  • 월/일 한도 확인: 원주처럼 월 15회 한도형은 남은 횟수를 수시로 확인하세요.
  • 관내 요건·노선 구분: 화성 등은 ‘관내 시내·마을버스’만 해당. 광역·좌석·공항은 제외가 일반적입니다.
  • 분실·도난 즉시 신고: 무임·지원카드는 부정 사용 시 이용정지 등 불이익이 있습니다.
  • 현금 탑승 금지(해당 지역): 영덕 등 일부는 현금 탑승 시 무임 적용이 안 됩니다.
신규 시행 지역도 계속 늘고 있습니다. 공식 고지에서 요건과 발급 창구를 꼭 확인해 보세요.
경기 화성 ‘무상교통(65+)’ 안내 바로 가기

마무리 의견

2025년 현재, 노인 버스 무임은 ‘전국 공통’이 아닌 ‘지역 선택’이라는 점이 핵심입니다. 대전·경주·포항·영덕·울산·원주·화성 등은 실제 시행·확정 공지가 확인되었고, 연령 기준(65·70·75세), 무료 횟수(무제한/월 15회), 적용 노선(시내·마을/농어촌/광역 제외), 정산 방식(무임/환급)이 지역별로 다릅니다. 서울처럼 지하철은 무임이지만 버스는 유료인 곳도 많습니다. 본문 표와 공식 링크를 단서로, 거주지 기준의 가장 유리한 제도를 확인해 보시길 권합니다.

실제 민원·상담 자료를 근거로 보면, ‘같은 카드로 전 구간 처리’‘관내 통행 요건’에서 불필요한 추가 비용이 자주 발생합니다. 카드 발급 단계에서부터 이 두 가지를 명확히 점검하면 시행 첫날부터 체감 혜택을 최대화할 수 있습니다.

본 글은 각 지자체 공식 고시·시정 페이지·보도자료를 토대로 2025-08-24 기준으로 정리했습니다. 정책은 수시 변경될 수 있습니다.

댓글 쓰기

0 댓글

이 블로그 검색

신고하기

프로필

이미지alt태그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