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등록번호 뒷자리 지역번호 확인하기: 2020년 이후 달라진 점까지 한 번에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지역번호 확인하기: 2020년 이후 달라진 점까지 한 번에

FACT 체크 기반 · 2020년 이후 제도 변화 반영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지역번호 확인하기: 2020년 이후 달라진 점까지 한 번에

업데이트: 2025-09-24 · 근거: 행정안전부·공신력 있는 공개자료

핵심 요약
· 2020년 10월 5일 이후 부여되는 주민등록번호는 지역번호 폐지임의번호(무작위)가 적용되어 지역을 알 수 없습니다.
· 2020-10-04 이전 부여된 번호에 한해, 과거의 등록지(행정구역)를 나타내던 8~11번째 자리 값으로 대략적 지역을 추정하던 체계가 존재했습니다.
· 타인의 주민등록번호 수집·공유는 법적으로 제한되며, 본 글은 체계 이해와 자기 번호의 옛 표기 해석 정보만 제공합니다.
최근 안내는 수시로 개정됩니다. 공식 설명을 바로 열어 최신 기준을 확인해 두면 안전합니다.
2020년 ‘지역정보 삭제’ 공식 보도 확인

1. 자리별 의미

아래 표는 주민등록번호의 전통적 자리 뜻을 정리한 것입니다. 2020년 10월 이후 신규 부여분은 일부 자리 체계가 임의화되었습니다.

자리 기본 의미 비고
1~6 생년월일(YYMMDD) 예: 900101 = 1990년 1월 1일
7 성별·세기 구분 예: 1/2=1900~1999 출생, 3/4=2000~2099 출생 등
8~11 (과거) 등록지(행정구역) 코드 2020-10-05 이후 신규 번호에는 적용되지 않음(임의화).
12 (과거) 일련 구분 동일 성별·동일 일자 등록 구분
13 검증번호 체크 디지트. (알고리즘 존재)

2. 옛 ‘지역번호’ 확인법

아래 표는 2020년 10월 4일 이전 과거 체계에서 8~11번째 자리 중 앞 두 자리(행정구역 범주)의 대표적인 범위를 정리한 것입니다. 실제 코드는 시기별 개정·예외가 있고, 세부(읍·면·동) 단위는 10~20여 년 전 편람 기준으로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앞 두 자리(대략) 행정구역 범주(과거) 비고
00–08 서울
09–12 부산
13–15 인천
16–25 경기
26–34 강원
35–39, 40–47 충청권(충북·대전·충남) 예: 대전=40
48–56, 55–66 전라권(전북·광주·전남) 예: 광주=55~56
67–76, 70–81 대구·경북
82–89, 90–92, 85 경남·울산 예: 울산=85
93–95 제주
사용 방법(옛 번호에 한해)
  1. 본인 번호의 8~11번째 자리를 확인합니다.
  2. 그 중 앞 두 자리를 위 표 범위에 대입해 대략적 행정구역 범주를 추정합니다.
  3. 세부 읍·면·동까지 단정할 수 없고, 동일 범주 내 겹침·변경이 있었음을 염두에 둡니다.

※ 2020-10-05 이후 신규 부여분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임의번호). 공식 자료 개요 및 요약 범위 기준은 공개 편람·백과식 정리에 의거합니다.

제도 변경 이후에는 지역 추정이 되지 않습니다. 변경 배경과 임의화 취지를 한 번에 확인해 두면 혼선이 줄어듭니다.
임의화(무작위화) 이후 자리 의미 개관

3. 2020년 10월 이후 무엇이 달라졌나

구분 2020-10-04 이전 2020-10-05 이후(신규 부여)
8~11자리 등록지(행정구역) 코드 임의번호(지역 추정 불가)
12자리 동일 조건 일련 구분 임의번호 체계로 전환
13자리 검증번호(체크 디지트) 체계 유지(형식 검증 목적)
개인정보 영향 지역 유추 가능(제한적) 지역 유추 불가 → 사생활 보호 강화

4. 현장형 시나리오 예시(자기 번호 해석)

예시) 2000년생 A씨의 옛 번호 해석
  1. A씨의 주민등록번호가 000101-3251XXXX 형태라고 가정(굵은 25는 8~11 중 앞 두 자리).
  2. 3은 2000년대 출생 남성 구분, 25는 과거 표에 따르면 경기권 범주에 포함.
  3. 다만 정확한 시·군·구 수준 특정은 불가, 개정·변경 가능성도 있으므로 대략 범주만 파악.

※ 위 예시는 체계 설명을 위한 가상의 값입니다. 타인의 주민등록번호 수집·추정은 금지됩니다.

예시) 2021년 이후 신규 부여자 B씨

2021년에 신규로 번호를 부여받은 B씨의 8~11자리는 임의번호입니다. 과거 지역코드표로는 어떤 지역도 추정할 수 없습니다.

5. 자주 묻는 질문(FAQ)

질문 핵심 답변
지역번호를 지금도 쓸 수 있나요? 신규 부여분에는 지역번호가 없습니다. 2020-10-04 이전 번호만 옛 코드표 해석이 가능했습니다.
정확한 출생지까지 알 수 있나요? 아닙니다. 과거 체계도 대략적 범주 수준이었고, 세부 행정동 특정은 불가했습니다.
검증번호(13번째)란? 형식 오류를 줄이기 위한 체크 디지트입니다. (계산 규칙 존재)
법적 주의사항은? 타인의 주민등록번호 수집·공유는 법적으로 엄격히 제한됩니다. 필요한 경우에도 최소한만 처리하십시오.
공식 법·안내 경로를 열어 두고 확인해두면 추후 업무나 실무 검토가 훨씬 수월합니다. 최신 고시·규칙은 정기 개정됩니다.
국가법령정보센터에서 최신 규칙 확인

6. 개인정보 주의사항

  • 본 글은 체계 이해를 위한 일반 정보입니다. 타인의 주민등록번호를 수집·공유·게시하는 행위는 법적으로 금지·제한됩니다.
  • 옛 지역코드표는 과거 체계 요약으로, 현재 신규 번호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작성 의견·후기
실제 문의에서 가장 잦은 혼선은 “요즘도 지역번호로 출생지 파악이 되나요?”입니다. 결론은 아니오입니다. 2020년 10월 5일 이후에는 임의화로 바뀌었고, 과거 번호 해석도 어디까지나 범주 수준입니다. 제도 취지(사생활 보호 강화)를 이해하고, 필요 시에는 공식 안내를 우선 확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댓글 쓰기

0 댓글

이 블로그 검색

신고하기

프로필

이미지alt태그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