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데이트: 2025-09-30
피난구 유도등 설치 기준 필수확인 (2025 최신)
화재와 정전 같은 긴급 상황에서 안전한 대피를 돕는 피난구 유도등. 설치 기준은 법적으로 정해져 있으며, 건물 관리자는 반드시 준수해야 합니다. 여기서는 건축물별 설치 요건, 높이, 간격, 관리 규정을 정리했습니다.
소방청에서 제공하는 공식 자료를 통해 최신 법규와 기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놓치면 과태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소방청 공식 사이트① 피난구 유도등이란?
구분 | 설명 |
---|---|
용도 | 피난구 위치 표시, 대피 경로 안내 |
형태 | 문 위 설치형, 벽면 설치형 |
전원 | 상시전원 + 비상전원(배터리) |
법적 의무 | 소방법 및 시행령에 따라 의무 설치 |
② 설치 기준 (건축물별)
건축물 | 설치 필요 구역 |
---|---|
지하층 | 모든 출입구 |
다중이용업소 | 영업장 출입구, 주요 피난구 |
병원·학교 | 각 층 출입구 |
공연장·판매시설 | 관객석 출입구, 비상구 |
건물 관리자라면 반드시 피난유도등 의무설치 대상 여부를 확인하세요. 미설치 시 법적 제재가 따릅니다.
화재예방·소방시설 설치 법령③ 설치 위치와 높이
항목 | 기준 |
---|---|
설치 위치 | 피난구 상부, 문 위, 출입구 상단 |
설치 높이 | 바닥에서 1.8m 이상 |
간격 | 시야 확보 가능한 위치, 다른 물체에 가려지지 않도록 |
밝기 | 정전 시 60분 이상 점등 |
④ 유지·관리 기준
점검 주기 | 내용 |
---|---|
월 1회 | 작동 여부 확인 |
분기 1회 | 비상전원 상태 확인 |
연 1회 | 전체 정기 점검(소방안전관리자) |
정기점검과 설치 기준에 맞지 않을 경우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안전관리 지침을 꼭 확인하세요.
한국소방안전원 안내⑤ 정리 및 의견
피난구 유도등은 단순한 전등이 아니라 생명을 지키는 안전 장치입니다. 의무설치 대상 건축물과 설치 위치·높이·간격은 법적으로 정해져 있으며, 미준수 시 과태료 등 제재가 있습니다. 실제 현장에서 보면 일부 건물은 유도등이 가려져 잘 안 보이거나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매우 위험합니다. 건물 관리자라면 정기 점검을 습관화하고, 이용자라면 피난구 위치를 평소에 확인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