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라디오 주파수 및 채널 종류, 청취 방법 총정리 (최신 가이드)

KBS 라디오 주파수 및 채널 종류, 청취 방법 총정리 (최신 가이드)

KBS 라디오 주파수 및 채널 종류, 청취 방법 총정리

“우리 지역 KBS 라디오는 몇 MHz/㎑일까요?” “앱이나 유튜브로 듣는 방법은?” — 헷갈리기 쉬운 채널 구분, 대표 주파수, 지역별 확인 요령, 온라인 청취까지 사실에 근거해 차근차근 정리했습니다. 질문과 답 형식으로 아주 쉽게 풀어드립니다.

공식 앱에서 실시간 청취·다시듣기를 지원합니다. 안내가 바뀌기 전에 아래에서 바로 확인해 혜택을 챙겨보세요.
KBS KONG 공식 앱 안내(안드로이드)

1) 핵심부터 빠르게 Q&A

Q. KBS 라디오, 채널이 어떻게 나뉘나요?
A. 대표 채널은 1라디오(시사·뉴스), 쿨FM(=KBS 2FM·음악), 클래식FM(=KBS 1FM·클래식), 3라디오(사회·약자·복지/AM 1134, 수도권 FM 보조 104.9 등), 한민족방송(AM 972·1170, 일부 단파 6015kHz)입니다. 지역별 세부 주파수는 송신소에 따라 다릅니다.
Q. 서울·수도권 대표 주파수만 기억해도 될까요?
A. 예시로 1라디오 AM 711kHz, 쿨FM 89.1MHz, 클래식FM 93.1MHz, 3라디오 AM 1134kHz(수도권 FM 104.9 보조), 한민족방송 AM 972/1170kHz가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단, 지역은 상이하니 아래 ‘지역 확인법’을 참고하세요.
Q. 라디오 없이도 들을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KBS KONG 앱(모바일), KBS 라디오 웹(브라우저), KBS 공식 유튜브 라이브(1라디오) 등에서 실시간 청취가 가능합니다. 연결 품질은 네트워크 상태에 좌우됩니다.

2) 채널별 특징 한눈에 보기

채널 성격·콘텐츠 대표 주파수(서울 기준 예시) 온라인 청취
KBS 1라디오 뉴스·시사 중심, 보도 특화 AM 711kHz 웹/앱, 공식 유튜브 24시간 라이브
KBS 쿨FM (KBS 2FM) 음악·엔터테인먼트 FM 89.1MHz 웹/앱
KBS 클래식FM (KBS 1FM) 클래식·교양 FM 93.1MHz 웹/앱
KBS 3라디오 장애인·노년층 등 사회적 약자 대상, 복지·정보 AM 1134kHz (수도권 FM 보조 104.9MHz) 웹/앱
KBS 한민족방송 국내외 동포 대상, AM 중심 (일부 단파) AM 972kHz·1170kHz / SW 6015kHz 웹/앱

※ 채널명과 세부 편성은 변동될 수 있습니다. 실제 수신은 지역·환경·수신기 성능에 영향을 받습니다.

공식 웹 포털에서 편성·실시간 청취가 지원됩니다. 변경 전 빠르게 확인해 보세요.
KBS 라디오 공식 포털(웹 청취)

3) 대표 주파수 예시 & 지역별 확인 요령

지역별 세부 표 전체를 이 글에 모두 싣기보다는, 대표값 + 신뢰할 수 있는 확인 경로를 함께 안내드립니다.

채널 서울·수도권 예시 비고
1라디오 AM 711kHz 대도시권 AM 수신은 실내·차량 환경에 따라 편차
쿨FM FM 89.1MHz 음악채널, 차량 수신 안정적
클래식FM FM 93.1MHz 클래식 전문
3라디오 AM 1134kHz (FM 104.9 보조) 사회·복지 정보 중심
한민족방송 AM 972kHz·1170kHz / SW 6015kHz 야간 원거리 수신 사례 다수
지역별 주파수를 정확히 찾는 방법: (1) KBS 라디오 웹/앱에서 채널 선택 후 지역 정보 확인, (2) 주파수 전문 지도/데이터베이스(World Radio Map 등)에서 송신소별 주파수 확인, (3) 실제 수신이 어려우면 KONG 앱·웹 스트리밍 이용.

4) 온라인으로 듣는 3가지 길

방법 접속 경로 장점 주의사항
KBS KONG 앱 모바일 앱(안드로이드·iOS) 실시간·다시듣기·보이는 라디오·채팅·알람 모바일 데이터 사용량, OS/앱 업데이트에 따른 UI 변동
KBS 라디오 웹 브라우저에서 공식 포털 접속 PC 스피커·이어폰으로 안정 수신, 별도 설치 無 브라우저·플레이어 호환성에 따라 일부 제약
공식 유튜브 라이브 예: KBS 1라디오 24시간 라이브 접근성 높음, TV/스마트기기 화면으로 청취 가능 라이선스·편성 사유로 일부 프로그램은 미송출 가능
송신소·주파수 정보는 전문 사이트가 편리합니다. 업데이트가 늦기 전에 아래에서 직접 확인해 보세요.
예: KBS 한민족방송(972·1170·6015kHz) 송신 정보 보기

5) 제가 써본 방법·비교

차량에서는 쿨FM(89.1)·클래식FM(93.1)이 가장 안정적으로 잡혔고, 실내에서는 1라디오(AM 711)는 창문 가까이·내장 안테나 위치에 따라 수신 품질 차이가 있었습니다. 해외 체류 중에는 한민족방송 AM 972/1170 대신 KONG 앱 스트리밍으로 듣는 편이 확실했습니다. 집에서는 PC 브라우저로 KBS 라디오 웹 플레이어를 켜 두니 배터리 걱정 없이 오래 들을 수 있었습니다.

6) 자주 묻는 질문(Q&A)

Q. 우리 지역 주파수가 다르게 뜨는데 왜죠?
A. 송신소·중계소 위치, 출력, 지형·건물 영향으로 지역별 주파수가 다릅니다. 공식·전문 페이지에서 지역을 지정해 확인하세요.
Q. 3라디오는 AM만 있나요?
A. 기본은 AM 1134kHz이지만, 수도권 등에서는 FM 104.9MHz 보조 송출이 알려져 있습니다. 실제 수신 가능 여부는 위치에 따라 다릅니다.
Q. 한민족방송은 왜 AM/단파를 쓰나요?
A. 광역 수신을 위한 특성이 있어 야간 장거리 수신 사례가 많습니다. 다만 도심 실내는 잡음이 있을 수 있어 앱 스트리밍이 대안입니다.

7) 마무리 및 의견

라디오는 결국 “내가 당장 듣기 쉬운 경로”가 중요합니다. 주파수 수신이 불안정하면 KONG 앱이나 공식 웹을 활용해 보세요. 야외·차량에서는 FM이 안정적이고, 뉴스·시사 중심의 1라디오는 실내 AM 수신 품질을 살피는 것이 좋습니다. 해외나 지방 이동이 잦다면 한민족방송의 장거리 수신 특성을 이해하되, 언제든 스트리밍으로 전환할 수 있게 준비해 두면 편합니다.

채널 편성·주파수는 송신 정책과 기술 사유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청취 전 공식·전문 사이트에서 최신 정보를 다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쓰기

0 댓글

이 블로그 검색

신고하기

프로필

이미지alt태그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