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코드 S3350 실비보험 청구 방법 및 치료기간 총정리
S3350은 「요추의 염좌 및 긴장」을 의미합니다. 본 글은 공신력 있는 진단코드·의학 자료와 국내 실손청구 안내를 바탕으로, 청구 서류·절차·치료기간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1) 핵심 요약 (네이버 지식스니펫 구조)
한 줄 정의
S3350 = 요추(허리) 부위의 염좌·긴장 진단코드입니다. 보통 갑작스런 허리 비틀림/무리한 동작으로 인대·연부조직이 손상된 상태를 뜻합니다.
실비 청구 가능 여부
대체로 청구 가능합니다. 다만 보장 범위(급여·비급여), 본인부담금, 특약(예: 도수치료) 적용 여부는 가입 시기·약관에 따라 달라집니다.
필수 서류(기본)
①진료비 계산서·영수증 ②진료비 세부산정내역서 ③처방전/약제비 영수증(해당 시) ④진단서 또는 진단명이 포함된 서류(요구 시) 등. ※ 보험사별 양식·요건 상이
간편 청구
실손24(공공 플랫폼)를 통해 서류 연동 기반 비대면 청구가 가능합니다.
치료 기간
경도는 보통 수일~2주 내 호전, 다수는 4주 내 회복. 중등도는 3~6주, 드물게 수개월 소요 가능.
2) S3350의 뜻 (팩트 중심)
S3350은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CD)의 범주에서 요추의 염좌 및 긴장을 지칭하는 코드로, 국제질병분류(ICD-10) 상 대응 범주는 S33.5(요추 인대 염좌)입니다. 급성 허리 손상(삐끗함 등)으로 인대·근육에 미세 손상이 발생했을 때 쓰입니다.
3) 실비보험 청구: 서류·절차·유의점
3-1. 준비 서류(기본)
- 진료비 계산서·영수증, 진료비 세부산정내역서
- 처방전 및 약제비 영수증(약 조제 시)
- 진단서 또는 진단명이 명시된 서류(요구 시)
- 기타: 영상 판독결과지/물리치료 내역(해당 시), 통원 기록
3-2. 청구 절차(요약)
- 진단코드(S3350) 및 진료내역 확인
- 증빙서류 수령(또는 연동) 후 보험사 접수
- 심사 및 지급(약관·자기부담금·보장한도 적용)
4) 치료 기간·치료법(근거 정리)
요추 염좌·긴장은 대체로 보존적 치료로 호전됩니다. 권장되는 일반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 초기: 통증 조절(냉·온/단기 휴식/진통·소염제), 필요한 경우 물리치료
- 회복기: 점진적 활동 복귀, 허리·둔부·햄스트링 스트레칭·근력 강화
- 주의: 신경학적 이상(다리 힘 빠짐, 배뇨·배변 장애 등) 동반 시 즉시 진료
회복 기간(근거 범위): 경도는 수일~2주, 다수는 약 4주 내 호전, 중등도 3~6주, 심하면 수개월.
5) 사례형 가이드(따라하기: 청구·치료 루틴)
- 진단 확인: 진료기록·영수증에 S3350 표기 여부 확인
- 서류 확보: 영수증·세부내역·처방전 수령(또는 실손24 연동)
- 약관 체크: 본인부담·공제, 통원/물리치료 한도, 도수치료 특약 여부
- 접수: 실손24 또는 보험사 앱/지점 이용
- 치료 루틴: 48~72시간 무리한 동작 피하고, 통증 허용 범위 내에서 가벼운 움직임→스트레칭·근력 강화로 단계적 복귀
6) 비교/표 정리(하늘색 테이블 3개)
표 1) 코드와 의미 비교
코드 | 의미(요약) | 비고 |
---|---|---|
S3350 | 요추(허리) 염좌·긴장 | KCD 범주, ICD-10 S33.5와 대응 |
S33.5(ICD-10) | 요추 인대 염좌 | 국제분류. 문헌·해외 자료 검색 시 기준 |
기타 요통(M54.5 등) | 증상 코드(“요통”) | 원인·손상 분류인 S코드와 구분 |
표 2) 진료 유형별 기본 청구 서류
상황 | 주요 서류 | 추가 가능 서류 |
---|---|---|
외래 통원 | 영수증, 세부산정내역서, 처방전/약제비 | 물리치료 내역, 영상 판독지(해당 시) |
응급실 방문 | 응급실 영수증·내역서 | 진단서(요구 시), 영상 결과 |
입원 | 입퇴원 확인서, 영수증·내역서 | 수술기록·간호기록(해당 시) |
표 3) 손상 정도별 회복 기간(문헌 범위)
손상 정도 | 예상 회복 기간 | 근거 범위(요약) |
---|---|---|
경도(염좌/긴장) | 수일 ~ 2주 | 대부분 2주 이내 호전 사례 다수 |
중등도 | 3 ~ 6주 | 일반적 회복 범위(4주 내 다수 호전) |
중증(광범위 손상) | 6주 ~ 수개월 | 보존적 치료 장기화 가능 |
7) 자주 묻는 질문(FAQ)
- Q. S3350이면 실비 청구가 무조건 되나요?
- A. 통상 청구 가능하지만, 보장 범위/자기부담금/한도는 가입 시기·약관에 좌우됩니다. 비급여 치료(예: 일부 도수치료)는 특약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Q. 치료는 얼마나 걸리나요?
- A. 경도는 수일~2주, 다수는 4주 내 호전, 중등도 3~6주가 일반적입니다. 신경학적 이상이 의심되면 즉시 진료가 필요합니다.
- Q. 간편 청구는 어디서 하나요?
- A. 실손24에서 비대면 서류 연동 기반으로 접수할 수 있습니다(보험사별 제공 범위 상이).
8) 마무리 의견
요추 염좌·긴장은 생활 중 흔히 발생하지만, 진단코드(S3350)와 청구 서류를 정확히 준비하면 처리 지연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초기엔 통증 관리와 무리한 동작 회피가 중요하며, 이후에는 단계적 활동 복귀와 근력 강화가 재발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보험 접수는 영수증·세부내역을 확보하고, 필요 시 진단서 요구 기준을 확인하세요. 공공 플랫폼(실손24)을 통해 비대면으로도 접수할 수 있습니다.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