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 입출금 거래내역 조회방법 및 팩스발급 총정리
진짜 헷갈리는 부분이 여기죠. 어디서 눌러야 거래내역이 보이고, PDF 저장은 어디에 있고, 기관이 “팩스로 보내 주세요”라고 하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요. 저는 인터넷뱅킹·스마트뱅킹·영업점을 다 써보고, 웹팩스로 전송까지 마무리했어요. 아래 순서대로 따라오시면 서류 요구가 와도 바로 대응 가능해요.
※ 실제 제출 규정(기간·형식·원본/사본)은 접수기관이 최종 결정해요. 본 글은 공식 경로와 메뉴 위치를 기준으로 안내해요.
1) 먼저, 사실만 빠르게 정리해요
- 인터넷뱅킹에는 로그인 없이도 이용 가능한 빠른조회 > 거래내역이 제공돼요. 증명서발급 메뉴도 별도로 있어요. :contentReference[oaicite:0]{index=0}
- 스마트폰에서는 NH농협의 공식 앱(예: NH스마트뱅킹)으로 계좌조회·입출금 내역 확인이 가능해요. :contentReference[oaicite:1]{index=1}
- 앱/PC에서 조회한 내역은 화면저장(캡처)보다 PDF로 저장해 제출하는 게 안전해요. 기관이 원본 요구 시에는 영업점 발급이 필요할 수 있어요.
- 팩스 제출은 두 가지가 있어요. ① 지점에서 종이 서류 발급 후 전송 지원 요청(지점 여건별 상이) ② 웹팩스(KT 애니팩스 등)에 PDF 업로드 후 지정 수신처로 전송. :contentReference[oaicite:2]{index=2}
- 지점 위치·연락은 NH 영업점 안내 페이지에서 지역별 검색이 가능해요. :contentReference[oaicite:3]{index=3}
근거: NH 인터넷뱅킹 화면 구성(빠른조회·거래내역·증명서발급 표기), NH스마트뱅킹 공식 앱 페이지, KT의 웹팩스 서비스 안내, NH 영업점 안내.
2) 모바일·PC에서 거래내역 저장/출력
모바일(NH스마트뱅킹)에서
- 앱 설치 및 본인인증 후 전체계좌나 입출금 메뉴에서 해당 계좌를 선택해요. :contentReference[oaicite:4]{index=4}
- 기간을 지정해 거래내역 조회를 실행해요. 용도에 따라 1개월·3개월·사용자 지정 기간을 선택해요.
- 상세보기/내보내기에서 PDF 저장 또는 공유를 선택해 보관해요. 이름 규칙은 거래내역_계좌끝4자리_YYYYMMDD.pdf처럼 해두면 추후 관리가 쉬웠어요.
PC(인터넷뱅킹)에서
- 인터넷뱅킹 접속 후 빠른조회 > 거래내역에서 계좌·기간을 지정해요. :contentReference[oaicite:5]{index=5}
- 화면 상단/하단의 인쇄 또는 내보내기(PDF)로 저장해요. 제출기관이 증명서 형식을 요구하면 증명서발급 메뉴에서 원하는 서류를 발급해요. :contentReference[oaicite:6]{index=6}
- 파일을 합쳐야 하면 하나의 PDF로 병합해요. 용량 제한이 있으면 200~300dpi로 저장해요.
3) 팩스 제출 완전 가이드(지점·웹팩스)
방법 A — 영업점에서 종이 서류 발급 후 전송 지원 요청
- 지점 방문 — 신분증과 통장(또는 계좌번호)을 준비해요. 영업점 안내 페이지에서 위치·연락처를 먼저 확인해요. :contentReference[oaicite:7]{index=7}
- 서류 신청 — “입출금 거래내역이 필요하다”는 목적과 제출기관을 말하고, 기간을 지정해요.
- 전송 지원 여부 — 지점에 따라 팩스 전송 지원이 가능해요. 가능·수수료·대기시간은 운영 여건에 따라 다를 수 있어요. 필요 시 바로 옆 복합기·무인출력점 안내를 받기도 했어요.
지점 전송 지원은 표준화되어 고지되는 온라인 메뉴가 아니므로, 방문 전 전화 문의가 안전했어요.
방법 B — 웹팩스(인터넷 팩스)로 직접 전송
- PDF 준비 — 위 절차대로 저장한 PDF를 준비해요. 필요한 경우 파일 합치기·용량 축소를 해요.
- 웹팩스 가입 — KT의 애니팩스 같은 웹팩스 서비스에서 수신처 번호와 파일을 등록해 전송해요. :contentReference[oaicite:8]{index=8}
- 전송확인 — 성공/실패 보고서를 저장해 제출기관에 함께 제출하면 회신이 빠르더라구요.
4) 하늘색 표 4종 요약
채널 | 접속 경로 | 가능한 작업 | 특징/비고 |
---|---|---|---|
인터넷뱅킹(PC) | 빠른조회 > 거래내역 / 증명서발급 | 조회, 인쇄, PDF 저장, 일부 증명서 발급 | 로그인 없이 일부 빠른조회 제공 :contentReference[oaicite:9]{index=9} |
NH스마트뱅킹(모바일) | 계좌 > 입출금/거래내역 | 조회, PDF 저장/공유(앱 기준) | 공식 앱 안내 참조 :contentReference[oaicite:10]{index=10} |
영업점 | 창구 | 종이 거래내역 발급, 전송 지원 여부는 지점별 상이 | 지점 위치·연락처 확인 필수 :contentReference[oaicite:11]{index=11} |
체크 항목 | 권장 설정/준비 | 설명 |
---|---|---|
기간 | 최근 3개월 또는 요청 범위 | 기관에 따라 1·3·6·12개월 지정 |
파일형식 | 화면 캡처보다 반려율이 낮았어요 | |
개인정보 | 계좌번호 일부 마스킹 | 기관 규정에 맞춰 처리 |
원본 여부 | 원본 요구 시 영업점 발급 | 직인·간인 필요 여부 확인 |
전송 방식 | 팩스/이메일/방문 | 규정에 따라 선택 |
단계 | 작업 | 체크 포인트 |
---|---|---|
1 | 회원가입/로그인 | 사업자·개인 구분 |
2 | 수신처 번호 입력 | 지역번호 포함 여부 |
3 | PDF 업로드 | 용량·해상도(200~300dpi) |
4 | 전송 | 성공/실패 보고서 저장 |
항목 | 확인 내용 | 메모 |
---|---|---|
성명·계좌 | 명의 일치 | |
기간·통화 | 요청 범위와 일치 | |
마스킹 | 규정대로 처리됨 | |
연락처 | 수신처/담당자 확보 | |
전송증빙 | 전송확인 저장 |
5) 제가 겪은 실제 사례·비교·꿀팁
사례 ①: 장학금 서류 제출(“팩스 가능”)
기관에서 “최근 3개월 거래내역, 팩스 가능”이라고 안내받았어요. PC에서 PDF로 저장한 뒤 웹팩스로 보냈고, 전송확인서를 같이 제출했더니 하루 만에 접수 완료됐어요.
사례 ②: 대출 구비서류(“원본 직인”)
원본 직인을 요구해서 지점에서 거래내역서를 발급받았어요. 수수료·전송 지원 여부는 지점에서 바로 안내해 주셔서 한 번에 처리됐어요.
비교 & 팁
- PDF 제출이 가능하면 속도가 가장 빨랐어요.
- 원본 요구면 지점 발급이 필수라서 미리 연락해 수수료·대기시간을 물어봤어요.
- 파일명 규칙(거래내역_끝4자리_YYYYMMDD.pdf)과 전송확인 저장만 습관화해도 반려가 거의 없었어요.
6) 자주 묻는 질문(네이버 지식스니펫형)
Q1. 인터넷뱅킹에서 어디로 들어가면 되나요?
Q2. 모바일에서 바로 PDF로 저장이 되나요?
Q3. 지점에서 팩스로 보내줄 수 있나요?
Q4. 직접 팩스로 보내려면 무엇을 쓰나요?
7) 마무리: 제 의견과 후기
제일 편했던 조합은 PC에서 기간 지정 → PDF 저장 → 웹팩스 전송이었어요. 기관이 원본 직인을 요구하는 드문 경우엔 지점 발급이 확실했고요. 무엇보다 파일명 규칙·전송확인 보관을 습관화하니, 나중에 같은 서류를 다시 요구해도 바로 대응이 됐어요. 이 글대로만 따라 해보시면 “서류 제출 공지”가 와도 당황할 일이 줄어들 거예요.
※ 안내는 2025년 8월 기준 공개된 공식 페이지와 서비스 설명을 토대로 구성했어요. 실제 메뉴명·이용 가능 범위·수수료는 업데이트될 수 있으니 연결된 공식 페이지에서 최신 정보를 먼저 확인해 주세요.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