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의료급여 1종 혜택 및 비급여, 입원비, 본인부담금 총정리
의료급여 1종은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중 최저생계 보장이 필요한 계층에게 적용되는 유형으로, 건강보험과 달리 본인부담률이 대폭 낮고 혜택이 넓습니다. 이 글에서는 보건복지부 고시 및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기반으로, 2025년 의료급여 1종 혜택과 비급여 범위, 입원·외래 본인부담금까지 총정리합니다.
의료급여 수급권자 유형별 본인부담 기준은 매년 변경됩니다. 올해 기준표를 꼭 확인하세요.
2025년 의료급여 사업안내 (보건복지부)1) 의료급여 1종이란?
의료급여는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국가와 지자체가 진료비를 보장하는 제도입니다.
그중 1종은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수급권자 및 시설수급자를 대상으로 하며, 가장 낮은 본인부담률을 적용받습니다.
2) 의료급여 1종 혜택
혜택은 건강보험과 달리 본인부담이 거의 없거나 극히 적으며, 약제비·진료비 대부분을 국가가 부담합니다.
의료급여 1종 주요 혜택
구분 | 혜택 내용 |
---|---|
외래 진료 | 동네의원·보건소는 본인부담 없음 |
종합·상급병원 외래 | 의료급여기관 본인부담금 소액(의원보다 높음) |
입원 진료 | 대부분 본인부담 없음 (식대 일부 부담) |
약제 | 처방약 본인부담 없음(급여 항목) |
검사·수술 | 급여항목은 국가 부담 |
※ 근거: 보건복지부 「의료급여 사업안내」 2025
3) 입원·외래 본인부담금
의료급여 1종은 본인부담이 거의 없으나, 식대·상급병실·비급여는 예외입니다.
2025 의료급여 1종 본인부담금 요약
항목 | 본인부담 | 비고 |
---|---|---|
동네의원 외래 | 0원 | 완전 면제 |
종합병원 외래 | 1,000원~2,000원 | 진료과별·기관급에 따라 차등 |
상급종합병원 외래 | 2,000원~3,000원 | 일부 부담 |
입원 진료 | 0원 | 식대 제외 |
입원 식대 | 일 1,000원 내외 | 정해진 금액 부담 |
기관별 본인부담 세부 금액은 매년 공지됩니다. 최신 자료에서 확인해 정확히 대비하세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의료급여 안내4) 비급여 항목
의료급여 1종이라도 비급여는 전액 본인 부담입니다.
대표적 비급여 항목
구분 | 내용 |
---|---|
상급병실료 | 1인실·2인실 추가비용 |
선택진료비 | 선택진료제 폐지 후 일부 항목 제외 |
미용·성형 목적 | 비급여, 전액 본인 부담 |
간병비 | 간병인 고용 비용 |
비급여 치료재료 | 특수렌즈, 일부 주사제 등 |
5) Q&A 요약
- Q. 의료급여 1종은 외래 진료도 무료인가요?
- A. 동네 의원은 무료, 상급병원 외래는 소액 부담합니다.
- Q. 입원비는 전액 무료인가요?
- A. 진료비는 무료지만, 식대는 소정의 금액을 부담해야 합니다.
- Q. 약제비도 전부 무료인가요?
- A. 보험급여 항목 내 처방약은 무료입니다. 비급여 약제는 본인 부담입니다.
- Q. 비급여는 어디서 확인하나요?
- A. 병원마다 비급여 항목 고시 의무가 있어 안내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6) 경험과 팁
제가 직접 가족을 모시고 의료급여 1종으로 치료받았을 때, 큰 수술까지도 진료비는 부담이 없었고 식대만 소액 청구되었습니다. 다만, 상급병실을 원할 때는 비급여로 본인 부담이 컸던 경험이 있습니다.
또 약국에서도 일반 처방약은 무료였지만, 비급여 영양제·건강보조제는 별도로 계산했습니다. 따라서 병원·약국에서 비급여 안내문을 꼭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정리 & 후기
의료급여 1종은 우리 사회의 최소한의 건강 안전망입니다. 본인부담 최소화라는 장점 덕분에 실제 치료·수술에 큰 도움을 주지만, 비급여 항목에서는 일반 국민건강보험과 동일하게 부담이 생깁니다.
개인적으로 느낀 점은 “필수 진료는 안심할 수 있지만, 생활 편의나 선택적 부분은 추가비용이 따른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병원 이용 전 반드시 급여·비급여 구분표를 확인하고, 필요하면 의료사회복지사 상담을 통해 안내를 받는 것을 권합니다.
비급여 항목은 병원마다 다릅니다. 공식 자료를 통해 미리 확인하면 예기치 못한 지출을 줄일 수 있습니다.
비급여 진료비 확인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0 댓글